본문 바로가기

책읽는 시간

[스크랩] 권정생 선생님 별세 하셨습니다.

 

권정생(69)

몽실은 기차 안에서 또 생각을 떠올렸다. 읍내 거리에서 꽃팔던 애였다.

그 애는 자기 손으로 돈을 벌어 식구들을 위해 비지를 사다먹고 있었다.

공짜로 얻어먹어선 안된다고 했다.

그런데도 몽실은 이번에도 또 공짜로 얻은 돈으로 기차를 타고,

공짜로 치료해준다는 병원을 찾아가고 있는 것이다.

지루한 기차 안에서 몽실은 아름다운 봄이 찾아와

진달래가 피고 새들이 지저귀는 바깥 풍경을

바라볼 여유도 못 가진 채 한숨을 쉬었다.

- [몽실 언니] p.210 -



1937년 일본 도쿄에서 태어났다. 10살 나던 1946년에 우리나라로 돌아왔으나 아홉식구가 뿔뿔이 헤어지고 생사도 모르는 가운데 부산에서 재봉틀 상회 점원 일을 했다. 19살에 늑막염과 폐결핵을 앓고 거기에 신장, 방광결핵까지 겹친다. 고향집에 돌아와 투병생활을 하나 집나간 동생과 고생하시는 부모님에 대한 죄스러움으로 죽기를 바랄만큼 괴로워 했다. 1963년 교회학교 교사로 정식 임명되어 죽지 않는다는 신념만으로 살았다. 그러다가 어머니가 돌아가셨다. 동생에게 부담을 주기 싫어 떠돌이 방랑생활을 자청하지만 병이 더욱 심해져 다시 고향으로 돌아온다.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경북 안동에 혼자 남아 교회 종지기로 일한다.
1969년 동화 『강아지똥』으로 월간 기독교 교육의 제1회 아동문학상을 받으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그 뒤 작고 보잘것 없는 것들에 대한 따뜻한 애정과 굴곡 많은 역사를 살아왔던 사람들의 삶을 보듬는 진솔한 글로 어린이는 물론 부모님들의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동화집『강아지똥』,『사과나무밭 달님』, 『하느님의 눈물』등과 소년 소설 『몽실언니』,『점득이네』등이 있다. 그리고 시집『어머니 사시는 그 나라에는』, 산문집『오물덩이처럼 뒹굴면서』등이 있다.




 
 

“교회나 절이 없다고 세상이 더 나빠질까”

[강아지똥]과 [몽실 언니]를 쓴 권정생(69) 선생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독자가 많은 동화작가다.

많은 사람들이 그를 만나려고 경북 안동시 일직면 조탑리

오두막으로 그를 찾아오지만 그는 사람들을 만나주지 않는다.

기자는 말할 것도 없다. 인터뷰 같은 것을 한 적도 없다.

어려서부터 앓아온 전신결핵의 고통으로 신음하면서 홀로 살아가는 그는

“너무 아파서 인상을 찌푸리지 않고 사람을 맞을 자신이 없어서”

사람이 찾아와 불러도 아예 문조차 열어보지 않는다.

그런 그가 김장배추 속에 숨은 흰 속살 같은 얼굴을 내보였다.

지난 29일 그의 마을 정자 나무 아래서 한 ‘드림교회’ 예배에서였다.

‘드림교회’란 이현주(62) 목사가 지난 4월부터 주일이면

좋은 사람과 좋은 장소를 찾아 예배를 드리는 ‘건물’ 없는 교회다.

이 목사는 이 마을에 찻길조차 없던 1970년대 이오덕 선생으로부터

숨은 ‘인간 국보’의 소식을 듣고 그를 찾아다녔던 지기다.

그는 ‘드림교회’가 뭔지도 몰랐지만

그런 이 목사의 청으로 엉겁결에 마을 정자 나무 아래 앉았다.

그를 만나고파 이 전국에서 이날 예배에 온 20여명과 함께였다.

 

 

권 선생은 사람들의 시선이 부끄러운 듯 모자를 눌러쓴 채 얘기를 했다.

그와 수십 년 지기인 이 목사도

“이렇게 한 자리에 오래 앉아 있는 것도, 이렇게 말씀을 오랫동안 하는 것도 처음 본다”고 했다.

권 선생이 생전 처음 베푼 말잔치는 소리 소문 없이 온 산하를 물들여버리는 가을 기운 같은 축복이었다.

작가 권정생이 말하는 하느님과 인간의 뜻

침묵 기도 뒤 사람들은 기도를 나누었다.

참석자들 대부분은 “하나님께 ‘저를 왜 이곳에 불렀느냐?’고 물었다”며

하나님께서 이러저러한 응답을 주었다고 말했다.

“차를 타고 이곳에 온 게 하나님 뜻인가요?”

이 목사 옆에 다소곳이 앉아 있던 권 선생이 말문을 열었다.

무슨 일을 하든 관성적으로 ‘하느님의 뜻’에 갖다 붙이는

그리스도인들의 ‘습관적인 말’에 대한 일침이었다.

“이라크에서 전쟁을 일으키는 것도, 사람들에게 그 많은 고통을 주는 것도

하나님의 뜻인가요? 인간이 한 것이지요.”

권 선생은 한참 동안 말을 하지 않았다. 그는 마을 쪽을 바라보고 있었다.

낙엽만이 침묵의 공간 속을 뒹굴었다. 마침내 여든 여덟 살 난 마을 할머니 얘기를 꺼냈다.

인간이 저지르고 하느님뜻이라니… 천당 가는 것보다 따뜻한 삶이 중요

“할머니가 네살 때 부모가 일본으로 끌려갔다. 그 뒤 아직까지 소식을 모른다."

그는 지금도 ‘아버지 어머니가 나를 버렸을까’ 아니면 ‘어쩔 수 없이 못 오셨을까’만 생각한다.

결혼해 자식 손자까지 다 있는데도 할머니는 아직까지 네 살짜리 아이로 살아가고 있다.

그것도 하느님 뜻인가. 하느님이 일제 36년과 6·25의 고통을 우리에게 주었는가?”

권 선생은 “아니다”라고 자답했다. 그 고통 역시 “인간 때문”이라는 것이다.

얘기 중에도 허공을 응시하는 듯한 눈으로

산과 들과 마을을 바라보던 그가 다시 마을 얘기를 이어갔다.

“우리 마을엔 당집이 있다. 거기엔 할머니신을 포함해 세 분이 모셔져 있다.

한 분은 후삼국시대에 백제에서 온 장군인데, 죽을 줄 알던 마을 사람들을 모두 살려줬다.

또 한 분은 비구니 스님인데, 이 마을에 전염병이 돌 때 와서 사람들을 살려줬다.

당집에선 한해 동안 싸움 안하고 가장 깨끗하게 산 사람이 제주가 되어

정월 보름마다 마을 사람들이 제사를 지내면서, 또는 당집 앞을 지날 때마다

스스로 착하게 살려고 자신을 다잡는다. 그렇게 마을 사람들은 평안하게 살아간다.”

그는 “사람들이 교회에서 ‘착하게 살아가라’는 설교를 귀가 따갑게 들으면서도

한 가지도 행하지 못하고, 서로 싸우기 일쑤인데 왜 그럴까. 세상에 교회가 없었더라면 어땠을까?”

그는 또 “교회나 절이 없었더라도 더 나빠지지 않았을 것 같다”고 자답했다.

그는 “세상에 교회와 절이 이렇게 많은데, 왜 전쟁을 막지 못하는가”라며 다시 낙엽을 바라보았다.

“‘선택받은 민족’이라는 유대인들은 아우슈비츠에서 600만명이나 죽는 고통을 당하고도

왜 그렇게 남을 죽이고 고통스럽게 하는가. 1940년대 유대인들이 처음 팔레스타인 땅에 돌아올 때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키부츠 등에 땅도 내주고 함께 살자고 했는데,

이젠 ‘처음부터 막았어야 했는데’라며 후회한다고 들었다.

영화 [쉘부르의 우산]의 배경이 된 전쟁은 베트남전이다.

프랑스는 당시 베트남인들을 노예처럼 끌어다가 칠레 남부의 섬에 가둬 비행장 건설 노역을 시켰다.

그러다 전쟁이 끝나자 베트남인들은 그대로 남겨둔 채 자기들만 고국으로 돌아가 버렸다.

그 섬엔 아직도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한 베트남 노인들이 살고 있다.

프랑스인들은 세계대전을 일으킨 독일의 악행만 얘기하지

자신들이 한 것에 대해선 한마디도 하지 않는다.

중국도 일본이 난징학살 때 30만명이나 살육한 것을 지금까지 그토록 분개하면서도

티베트인들을 그렇게 죽인 것에 대해선 한마디도 하지 않고 지금까지도 억압만 하고 있다.

미국은 자기는 핵무기를 만 개도 넘게 가지고 있으면서도 다른 나라들만 나쁘다고 한다.”

권 선생은 “모두가 자기는 잘하고 옳은데, 상대방이 문제라고 한다”고 했다.

그것이 불화와 고통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나는 죽어서 가는 천당 생각 하고 싶지 않다. 사는 동안만이라도

서로 따뜻하게 사랑하며 살아가야 하지 않겠는가.”

인간사의 일들이 ‘하느님의 뜻’이 아니라 ‘인간의 짓’임을 분명히 한 권 선생의 말에

자신의 행동도, 세상의 해악도 하느님에게만 돌리던 핑계의 마음은 쓸려가 버렸다.

그러나 권 선생은 “하느님은 언제나 ‘인간이 하는 것’을 보고 계신다”며

“그렇기에 홀로 있어도 나쁜 짓을 할 수 없고, 착한 일을 했어도 으스댈 수 없다”고 했다.

 

권정생의 문학과 삶

마을 뒤편 작은 개울가에 있는 권 선생의 오두막은

멀찌감치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가슴속 깊은 곳에서 뭔가 울컥 솟구치게 할 만큼 쓸쓸했다.

이끼로 덮인 바위를 지나 들어선 앞마당 잡풀 사이에

권 선생이 불을 때 밥을 한 것으로 보이는 솥이 걸려 있었다.

오두막은 5평 남짓. 그러나 그도 평생 읽어온 책들이 대부분 자리를 차지했다.

그가 사용하는 공간은 몸을 웅크려야 겨우 누울 수 있는 0.3평이나 될까.

장애와 천대를 안은 채 살아온 가련한 이들에 대한

따뜻한 시선이 그대로 드러나는 [몽실 언니]의 삶을 그는

우리나라 최고의 작가가 된 지 수십 년이 지난 지금도 그대로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그는 일제 때 일본 도쿄의 빈민가에서 태어나 광복 후 외가가 있는 경북 청송으로 귀국했다.

그러나 가난 때문에 가족과 헤어져 나무장수, 고구마장수 등을 했고,

전신 결핵을 앓으면서 걸식을 하다 열여덟살에 이 마을로 들어왔다.

스물 두 살에 다시 객지로 나가 떠돌던 그는 5년 뒤 이 마을로 돌아왔고,

스물 아홉 살 때부터 16년 동안 마을 교회 문간방에서 살며 교회 종지기로 살았다.

[하느님의 눈물], [하느님이 우리 옆집에 살고 있네요],

[도토리 예배당 종지기 아저씨], [우리들의 하느님] 등은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을 승화한 작품들이었다.

고운사 경내에서 함께 걸으며 그에게

“시골 마을에서도 이제 모두 새집 지어 살아가는데, 왜 그렇게 사느냐”고 물었다.

그러자 그는 “그 집도 1983년에 120만원이나 들여서 지은 집”이라며

“그런데 면에서 나온 공시지가를 보니, 89만원밖에 안 한다더라”고 했다.

그러면서 “마을 할머니들이 죽기 전에 그 집이라도 팔아서 돈을 쓰라고 한다”고 했다.

종지기 때와 다름없이 살아가는 그의 모습을 본 할머니들이 너무도 안타까워 하는 소리일 터였다.

그는 무언가를 관찰해 쓰는 작가가 아니라 자신은 끝내 녹아 없어져

아름다운 민들레꽃으로 피어나는 〈강아지똥〉의 실제 주인공이었다.

글·사진 조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Dream  / 이루마 & 전주영

(강아지똥 O.S.T, 2003)

출처 : 사)어린이도서연구회 서울지부
글쓴이 : 김지원(지부장) 원글보기
메모 :